‘색다른 것, 미개척 분야를 믿어라’ NVIDIA CEO의 Caltech 졸업식 연설

젠슨 황 CEO는 졸업생들에게 NVIDIA의 전체 여정에서 겪은 수많은 좌절을 어떻게 기회로 바꾸고 나아갔는지 공유했습니다.
by NVIDIA Korea

NVIDIA의 젠슨 황 CEO는 지난 금요일 Caltech 졸업생들에게 헌신과 회복 탄력성을 가지고 자신의 기술을 추구함과 동시에, 좌절을 새로운 기회로 삼으라고 격려했습니다.

“여러분이 무언가를 믿었으면 좋겠습니다. 틀에 박히지 않은 것, 미개척지 같은 것을요. 하지만 그 믿음에 대해 정보를 얻고 추론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GPU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CUDA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NVIDIA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젠슨 황 CEO는 자신의 시그니처 가죽 재킷 대신 검정색과 노란색의 학사복을 입고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서 열린 졸업식에서 약 600명의 졸업생들에게 연설하며, AI 혁신의 중요한 순간에 도달하기까지 컴퓨팅 산업이 수십 년에 걸쳐 진화해온 이야기부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컴퓨터는 가장 중요한 지식의 도구이며, 모든 과학 분야,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됩니다.”라며 “산업에 진출할 때는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10여 년 전 당시 작은 회사였던 NVIDIA가 딥 러닝에 베팅하여 모든 컴퓨팅 레이어을 재창조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와 수년간의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투자한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딥 러닝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지 아무도 몰랐고, NVIDIA가 직접 구축하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었습니다.”라고 젠슨 황 CEO는 말했습니다. 그는 영화 ‘Field of Dreams’의 유명한 대사(“if you build it, he will come”)를 언급하며 “저희의 논리는 이렇습니다: 우리가 구축하지 않으면 그들이 올 수 없다는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젠슨 황 CEO는 또한 미래를 내다보며 AI의 다음 물결은 로보틱스 분야이며, 이 분야는 NVIDIA의 전체 여정에서 적지 않은 좌절을 겪은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매년 신제품을 개발하던 NVIDIA의 과거를 회상했습니다. “놀라운 성공이였고 엄청난 흥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저희는 그 시장에서 쫓겨났습니다.”

이러한 장애물로 인해 NVIDIA는 “0억 달러 시장”이라고 부르는 미개척 분야를 찾아야 했습니다.

“더 이상 진출할 시장이 없는 상황에서 저희는 고객이 없다고 확신하는 곳에 무언가를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고객이 없는 곳에는 경쟁자도 없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젠슨 황 CEO는 말했습니다.

로보틱스 분야가 바로 그 새로운 시장이었습니다. 젠슨 황 CEO는 NVIDIA가 딥 러닝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최초의 로봇 컴퓨터를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그 중심축을 통해 회사는 차세대 AI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여러 차례의 좌절이 있었지만 저희는 이를 떨쳐내고 다음 기회로 나아갔습니다. 그때마다 저희는 기술을 습득하고 저희만의 개성을 강화했습니다.”라며, “요즘에는 저희에게 닥친 어떤 좌절도 기회로 보입니다.”

젠슨 황 CEO는 개성을 강화하는 초능력으로 회복 탄력성과 민첩성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세상은 불공평하고 힘든 카드를 내밀 수 있습니다. 재빨리 떨쳐내세요.”라고 그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히트곡 중 하나를 재치 있게 언급하며 말했습니다. “학교 밖에는 또 다른 기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젠슨 황 CEO는 일본 여행에서 교토의 유명한 이끼 정원을 열심히 가꾸는 정원사를 보면서 자신의 일에 전념하고 삶의 우선순위를 정하면 항상 시간이 충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야기를 마무리했습니다.

그는 “인생의 우선순위를 정하면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연설을 마무리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