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SK그룹, AI 팩토리 구축으로 국내 제조·디지털 혁신 이끈다

SK그룹은 5만 개 이상의 NVIDIA GPU를 탑재한 국내 최대 규모의 AI 팩토리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by NVIDIA Korea

NVIDIA는 SK그룹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연구, 개발, 생산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트윈,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마련을 위한 AI 팩토리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SK그룹은 5만 개 이상의 NVIDIA GPU를 탑재한 AI 팩토리를 구축 중이며, 1단계는 2027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입니다. 완공 시, 이 시스템은 국내 최대 규모의 AI 팩토리 중 하나가 될 전망입니다.

새로운 AI 팩토리는 SK하이닉스(SK hynix)와 SK텔레콤(SK telecom)을 포함한 SK그룹 계열사는 물론, 외부 기관에도 서비스형 GPU(GPU as a service, GPUaaS) 모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인데요. 이를 통해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산업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NVIDIA와 SK그룹은 파트너십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NVIDIA GPU를 위한 SK하이닉스 고대역폭 메모리(high-bandwidth memory, HBM)와 차세대 첨단 메모리 솔루션 개발, 반도체 제조, 통신 인프라 분야에서 협력합니다.

젠슨 황 CEO는 “AI 시대에 AI 팩토리라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 공장이 등장했습니다. SK그룹은 NVIDIA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로, NVIDIA가 전 세계 AI 발전을 주도하는 최첨단 GPU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가속 컴퓨팅과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AI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SK그룹의 혁신과 한국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AI 팩토리를 함께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기쁩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SK그룹은 NVIDIA와 협력해 AI를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업 전반이 규모,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서게 될 것입니다. NVIDIA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SK그룹은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구동할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SK그룹의 AI 팩토리 인프라는 한국 정부의 소버린 AI 파운데이션 모델(Sovereign AI Foundation Models)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개발자들에게 제공될 예정입니다. SK텔레콤 역시 해당 프로젝트의 모델 개발사로 참여해 기업, 산업, 연구자들이 AI 에이전트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SK텔레콤, NVIDIA Omniverse로 피지컬 AI와 로보틱스 혁신 가속

NVIDIA Cloud 제공자인 SK텔레콤은 아시아 지역에서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서버 에디션 GPU를 기반으로 산업용 AI 클라우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 제조 산업의 리더들이 피지컬 AI와 로보틱스 개발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2천 개 이상의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GPU가 도입될 예정이며, NVIDIA Omniverse 기반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제조, 공장 디지털 트윈, 내부용 AI 에이전트를 지원합니다.

SK하이닉스, AI 피직스·디지털 트윈·로보틱스·AI 에이전트로 생산성 향상

SK하이닉스는 SK텔레콤의 가속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해 운영 규모를 확장 중입니다.

SK하이닉스는 NVIDIA CUDA-X™NVIDIA PhysicsNeMo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NVIDIA CUDA-X 기술을 활용해 AI 물리 기반 설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는 기술 컴퓨터 지원 설계(technology computer-aided design, TCAD) 시뮬레이션을 가속화해 차세대 반도체 제품을 더 빠르고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죠. 또한 SK하이닉스는 현재 사용 중인 시놉시스(Synopsys) 소프트웨어를 NVIDIA Blackwell GPU로 가속화해 TCAD, 리소그래피(lithography) 시뮬레이션, 회로 시뮬레이션 분야의 활용 기회를 검토 중입니다.

SK하이닉스는 효율성 향상을 위해 NVIDIA Omniverse와 라이브러리 RTX PRO 서버를 활용해 자율형 팹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디지털 트윈은 팹 운영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최적화를 지원해 생산 가동 속도 향상, 운영 유연성 개선, 완전 자율 최적화 제조 시설 구현을 지원합니다.

SK 텔레콤은 NVIDIA NIM™ 마이크로서비스와 NVIDIA AI Enterprise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SK 하이닉스의 AI 에이전트를 구동할 A.X.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중입니다. 이 에이전트는 4만 명 이상의 임직원, 생산 인력, 사무직 근로자들이 더 빠르게 협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해 반도체 개발과 제조 전반의 생산성을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이번 협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1월 3일(월)부터 4일(화)까지 열리는 SK AI 서밋(SK AI Summit)에서 진행되는 NVIDIA 키노트와 세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